fnctId=departmentIntro,fnctNo=918
CHM1921 | 화학1(General Chemistry Ⅰ) |
---|---|
화학1은 화학 또는 화학 관련 과학/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위해 화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소개하는 과목이다. 화학1에서 학습하는 주제들로는 물질의 성분, 화학양론, 대표적인 화학 반응의 분류, 기체의 성질, 열화학, 양자 이론과 원자 구조, 전자 배치, 화학적 주기성, 화학 결합의 모형, 분자의 모양, 공유 결합을 설명하는 양자 이론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화학적 현상을 화학적 개념과 원리를 적용하여 해석해 본다. |
CHM1922 | 화학2(General Chemistry Ⅱ) |
---|---|
화학2는 화학 또는 화학 관련 과학/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위해 화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소개하는 과목이다. 화학2에서 학습하는 주제들로는 분자간 힘, 용액의 성질, 화학반응의 속도 및 반응 동력학, 화학 평형, 산-염기 평형, 수용액에서의 이온 평형, 화학 반응의 자발성, 전기 화학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화학적 현상을 화학적 개념과 원리를 적용하여 해석해 본다. |
CHM1928 | 화학실험1(General Chemistry Lab. Ⅰ) |
---|---|
화학실험1 교과목은 이론 교과목인 화학1과 연관된 실험/실습 과목으로, 학생들이 배운 화학의 기초 개념과 원리를 실험으로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화학에 대한 흥미를 북돋아준다. 또한, 화학실험에 사용되는 다양한 도구들과 장비들을 학생들이 직접 다루어 봄으로써 화학 실험과 보다 친숙해질 뿐만 아니라 화학 관련 전공자들이 배워야 할 고급 실험 과목들에 대비하여 실험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 |
CHM1929 | 화학실험2(General Chemistry Lab. Ⅱ) |
---|---|
화학실험2 교과목은 이론 교과목인 화학2와 연관된 실험/실습 과목으로, 학생들이 배운 화학의 기초 개념과 원리를 실험으로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화학에 대한 흥미를 북돋아준다. 또한, 화학실험에 사용되는 다양한 도구들과 장비들을 학생들이 직접 다루어 봄으로써 화학 실험과 보다 친숙해질 뿐만 아니라 화학을 전공하며 배우게 될 고급 실험 과목들에 대비하여 실험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 |
ENR1101 | 에너지자원과 미래(Energy Resources and Future) |
---|---|
본 교과목은 에너지자원공학에서 접하고 공부하게될 자원지질, 탐사, 자원평가, 개발 및 생산, 개발환경 및 안전, 자원경제 등의 내용이 소개된다. |
ENR1902 | 컴퓨터프로그래밍(Computer Programming) |
---|---|
- 컴퓨터를 사용하여 실제적인 공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 해결 및 프로그램 설계 능력을 배운다. 이를 위해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의 개념을 습득하고 Python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프로그래밍 기술을 익힌다. 나아가 에너지자원공학에서 접할 수 있는 여러 문제들을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현하고, 이를 해결하는데 수학적 방법 배우고 나아가 창의적인 데이터기반 해결 방법을 배우고 이를 실제 적용해본다. |
ENR2102 | 유체역학(Fluid Mechanics) |
---|---|
본 강의에서는 지하 및 지상에서 유체의 거동에 대한 기본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유체의 정의 및 기본 성질, 유체 정역학, 유체유동 방정식, 점성 유동, 압축성 유동, 유체역학의 응용 등에 대해 강의함. |
ENR2104 | 에너지자원경제(Energy Resources Economics) |
---|---|
자원경제학의 기초 이론과 응용사례, 자원경제학과 밀접히 연관된 기술경제학 (Economics of Innovation)의 주요 원리와 현실적 적용 사례들을 다룬다. 본 강의를 통하여 학생들은 자원 및 기술경제학을 통한 에너지경제 및 기술혁신 현상에 대한 설명방법을 체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원경제학이 경제학의 제 학문 (미시경제학, 기술경제학 등)과 맞닿아있는 접촉면 및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다룬다. 에너지자원의 수급전망, 수급전망에 영향을 미칠 기술혁신과 소비패턴의 변화, 미래의 에너지사회 (Green Society)에 대한 예측 등을 다룬다. |
ENR2105 | 에너지자원수치해석(Numerical Analysis for Energy Resources Engineering) |
---|---|
수치해석은 수학이론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하여 실제 문제해결에 적용하는 기법으로 컴퓨터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과학과 공학의 전 분야에 걸쳐 사용되는 이론이다. 본 강의에서는 수치해석의 기초적인 이론들을 학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간단한 문제에 적용해봄으로써 수치해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본 강의에서 다룰 수치해석 이론을 학습하기 위해 기초적인 선형대수학, 미적분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실습을 위한 간단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능력이 요구된다. 강의 내용은 수치해석을 위한 기본이론(모델링, 오차), 방정식의 해법, 선형연립방정식의 풀이, 선형회귀분석, 보간법, 수치미적분, 미분방정식의 풀이 등으로 구성된다. |
ENR2106 | 신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 |
---|---|
에너지와 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 에너지원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소개한다. 에너지원의 구성 현황과 전망을 포함하여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의 특성과 전망, 화석연료, 원자력, 태양광, 수력, 지열에너지, 수소에너지 등을 포함한다. |
ENR2107 | 에너지열역학(Energy Thermodynamics) |
---|---|
에너지 산업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열역학의 기본적인 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거시적인 시스템을 이해하는 방법을 다룸. 에너지의 기본개념을 익히고 신재생에너지의 생산, 전환, 저장 및 전통에너지 자원의 개발, 활용에 필요한 열역학 이론을 배움. |
ENR2113 | 에너지자원지질(Energy Resources Geology) |
---|---|
에너지자원분야에 응용가능하도록 지질학의 기본 지식과 원리를 포함한다. 강의는 크게 현재 지구를 구성하는 광물과 암석의 형성과 상호관계, 구조지질학과 지구조학,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질학적 변천과정, 생동하는 지구에서 과학적 기록을 읽는 방법과 원리, 지하 광물자원 등 다양한 범위를 포괄적으로 다룬다. |
ENR2211 | 광물 탐사 및 평가(Mineral Exploration and Evaluation) |
---|---|
In the first half, we study 1) rocks and mineral classification, 2) textures of minerals and rocks, 3) thermodynamics of igneous processes, and 4) major and trace element geochemistry. In the second half, we study optical techniques to 1) identify and determine minerals and rocks and 2) petrogenesis of igneous rocks in the upper crust. 2-3 days geologic field excursion will be provided. Students are expected to 1) understand rock-forming processes, 2) identify rocks and minerals with unaided eye |
ENR2311 | 고준위지층처분공학(Geological disposal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
---|---|
- 원자력에너지와 방사성폐기물의 특성과 종류에 대한 소개 - 방사성폐기물의 지층처분 현황과 고준위 폐기물의 안전한 장기 저장 및 처분을 위한 핵심 기술 - 지층처분을 위한 후보 부지에 대한 부지특성 평가 |
ENR2901 | 공업수학 1(Engineering Mathematics 1) |
---|---|
- 이 강의에서는 공학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량적인 도구로서 상미분 방정식과 선형대수, 벡터해석을 다룬다. 전반부에는 물리문제나 다른 여러 문제들을 설명할 수 있는 상미분방정식을 유도하고 표준화된 수학적 방법으로 이 방정식들을 풀이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가장 간단한 1계 상미분방정식과 공학 문제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고 중요한 2계 선형상미분방정식의 표준화된 풀이법을 이해하고 각 유형별 전형적인 문제들을 풀이해본다. 추가적으로 상미분방정식의 급수해를 다루고, 상미분방정식의 풀이를 쉽게 해줄 수 있는 라플라스 변환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후반부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문제 해결에서 매우 중요한 선형대수학 기초 이론과 벡터미적분 이론을 다룬다. |
ENR2902 | 공업수학 2(Engineering Mathematics 2) |
---|---|
- 이 강의는 공업수학 시리즈의 두 번째 과목으로 편미분 방정식과 그 풀이법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룬다. 다양한 공학적 응용에 필수적인 Fourier 해석, 편미분 방정식(wave equation, heat equation, Laplace equation), 복소수 및 복소함수의 미적분 등을 다룬다. 본 과목은 공과대학에서 배울 공학적 내용들의 수학적 기초 실력 확립을 목적으로 엄밀한 수학적인 접근보다는 주로 계산 방법과 공학적 적용 및 응용에 초점을 맞추어 응용수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한다. |
ENR3102 | 지구물리탐사(Geophysical Exploration) |
---|---|
본 강의는 탄성파 굴절법, 반사법, 중력탐사, 자력탐사, 전기탐사, 전자탐사의 기초를 소개한다. 탄성파 탐사를 이해하기 위해 기본적인 파동전파 이론을 학습하고 반사법 자료의 처리기법, 다양한 굴절법 탐사기법을 배운다. 중자력탐사를 이해하기 위해 중력장과 자기장의 기초 이론을 배우고 다양한 보정법과 해석 기법을 익힌다. 전기탐사에서는 전기비저항(DC)탐사, 유도분극(IP)탐사, 자연전위(SP)탐사 등을 다루고, 전자탐사에서는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에 대해 알아본다. 탄성파 굴절법, 반사법 탐사와 전기비저항 탐사, 지표투과레이더 탐사는 간단한 실습도 병행한다. |
ENR3103 | 지구통계학(Geostatistics) |
---|---|
지구통계학은 광물자원 및 석유자원의 공간적으로 분포하는 자료들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예측하는 기법을 연구하는 분야로서 자원평가 및 지질 모델링에 꼭 필요한 학문이다. |
ENR3111 | 에너지환경기술경영(Energ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of Innovation) |
---|---|
□ Introduction ○ Three lenses of energy resources evaluation, that is, economic, policy, and technological evaluation of energy resources evaluation will be addressed. Also, ex-ante-, through-, and ex-post-evaluation will be dealt with. ○ BC analysis,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hedonic price approach, multi-attribute utility theory (MAUT), technology evaluation/assessment (TA), real options approach and,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AHP) will be introduced. ○ Technological feas |
ENR3202 | 암석역학 및 실험(Rock mechanics and Laboratory) |
---|---|
지하 암반 구조물의 활용을 위해 요구되는 암석역학의 기초이론을 학습하고 암석코아를 이용한 실험실 시험을 통해 암석의 역학적, 열적 물성(강도,탄성계수,열전도도,탄성파속도 등) 을 측정, 분석함. |
ENR3204 | 자원개발공학(Mining Engineering) |
---|---|
지하자원개발을 위한 장비 및 광산 특성에 따른 다양한 광산개발법(surface, underground mining) 에 대하여 배움. |
ENR3206 | 에너지자원환경(Energy Resources Environment) |
---|---|
‘에너지자원환경’ 강의 목표는 ‘지속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에너지자원개발’을 위해, 에너지자원개발 전에 수행하는 자원 환경영향평가 (M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ement: Mine EIA), 개발 과정 중에 발생하는 작업장 환경관리를 위한 환기시스템 (Mine Ventilation System), 그리고 개발 후에 발생하는 광해관리 및 복구 (Mine Reclamation) 등을 이해하고, 궁극적으로 학생이 자원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학적 대책방안을 마련하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는데 있다. 특히 에너지자원환경과 연관된 신재생에너지 그리고 요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는 기후변화 (지구온난화)와 관련하여 환경영향평가의 대기질 내용에서 탄소포획 및 저장 기술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CS)그리고 탄소 자원화 기술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CCU) 등이 소개된다. |
ENR3207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CO2 Capture and Storage Technology) |
---|---|
화석연료부터 발생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지하 대수층이나 폐유가스전에 주입하여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기술을 소개한다. 이산화탄소 저장 지층 탐사 및 평가, 이산화탄소 수송 및 저장 방법, 주입성 향상 기술, 천연가스와 수소생산 및 CCS 연계, 기후변화와 이산화탄소 등을 포함한다. |
ENR3211 | 자원재자원화(Recycling to secure Critical Minerals) |
---|---|
본 과목에서는 미래자원(전기차, 배터리 등)의 폐기·유출을 방지하고 핵심광물 원료로 재자원화 할 수 있는 관련산업 이해, 자원처리, 원료화 등 순환체계를 마련하는 내용으로 구성 |
ENR3312 | 에너지빅데이터(Energy big data) |
---|---|
N/A |
ENR3313 | 시추 및 지층평가공학(Drilling and Subsurface Evaluation Engineering) |
---|---|
This course will cover the fundamentals of drilling engineering, including key topics such as drilling mechanisms, critical engineering aspects, the physics involved, safety and environmental assessments of formations, and drilling schedules. Moreover, students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cultivate their practical engineering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hands-on coding demonstrations, specifically utilizing Python. |
ENR3314 | CO2 지중저장 모니터링(CO2 Subsurface Storage Monitoring) |
---|---|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기술은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반드시 달성해야 하는 탄소중립의 핵심적인 방법론 중 하나이다. 이산화탄소를 지중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포집, 운송, 저장소 확보 및 주입 기술도 중요하지만, 주입 후 안정적으로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링 기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 모니터링 기술은 탄성파 탐사 기술과 같은 지구물리탐사 기술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다양한 측정 장비 기술과 자료처리 및 해석 기술을 필요로 한다. 이 강의에서는 이러한 모니터링 기술을 학습하고, 이 기술들이 CO2 지중저장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한다. |
ENR3315 | 지오에너지공학개론(Introduction to Geo-Energy Engineering) |
---|---|
This course provides fundamental knowledge on various subjects of petroleum engineering which is a very important energy resource. The topics include the properties of reservoir fluids and reservoir rock, and also the basic and fundamental of reservoir engineering, drilling engineering, and production engineering. |
ENR4104 | 풍력에너지(Wind Energy) |
---|---|
본 과목에서는 먼저 왜 풍력에너지가 중요한지, 어떻게 풍력에너지 프로젝트가 기획되는지, 환경적 문제는 무엇이 있는지 설명한다. 풍속 계산을 위해 공학적 모델의 적용 방법과, 년간 풍력에너지 생산량 계산 기법을 배운다. 또한 측정된 풍황 데이터 분석 기법도 강의된다. 경제적 측면에서 풍력발전 비용과 관련된 경제성 분석과, 공학적 측면에서 터빈기술 그리고 풍력발전에 의해서 생산된 전기의 공급망 관련된 내용을 배운다. |
ENR4105 | 순환경제(Circular Economy) |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경제적·사회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요소들을 살펴보고, 제품의 순환이용성 향상, 폐자원 에너지 고효율화, 순환이용 촉진 기반 기술 등을 국제적인 비교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
ENR4113 | 에너지전환 및 정책(Energy Transition and Policy) |
---|---|
○ Basic and advanced theory of Resource/Technology Economics and its application to explain real world will be provided. The crossroads between/among resource economics and other branch of economics (ex: economics of technology, productivity, economic dynamics and so forth) will be explored. ○ And various policy issues will be addressed. For your research capability to be enhanced, a few important academic papers and methodologies will be touched. |
ENR4201 | 발파 및 굴착공학(Blasting and excavation engineering) |
---|---|
안전하고 경제적인 암반발파를 위한 폭약의 특성 및 폭발에너지, 노천 및 지하터널의 발파설계에 대해 강의한다. |
ENR4214 | 수소에너지공학(Hydrogen Energy Engineering) |
---|---|
N/A |
ENR4215 | 에너지저장과 안전(Energy Storage and Safety) |
---|---|
. two times lecture in a week . Mid-term . Final exam is replaced by a term project using computer codes . field trip |
ENR4223 | 핵심광물 전주기 평가(Critical Mineral Life Cycle Assessment) |
---|---|
본 과목에서는 핵심광물 채광부터 처리, 제품제조, 유통, 사용 및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에 걸친 경제성 및 환경 영향을 분석?평가하는 내용으로 구성 |
ENR4311 | 미래가스공학(Natural Gas Engineering) |
---|---|
세계 친환경 에너지 수요 증가에 따른 천연가스의 역할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천연가스의 탐사, 생산, 처리, 운송 및 저장 기술에 대한 지식을 포함한다. 셰일가스의 개발 및 생산기술, 천연가스 생산 처리, 운송, 천연가스 액화공정 등 천연가스의 상류 및 하류부분을 전반적으로 다루며 더 나가 대체가스 및 수소가스와 같은 미래에너지원을 다룬다. |
ENR4312 | 저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Reservoir Modeling and Simulation) |
---|---|
The classs cover the fudamental of the reservoir engineering and the practical aspects of petroleum field: - Reservoir fluids and rock properties - Reserve volume calculation methods - Production well test - Reservoir modelling and Simulation - Reservoir production mechanisms - Material balance and enhanced oil recovery |
ENR4319 | 지오에너지 생산 및 설비(Geo-Energy Production and Facility) |
---|---|
This class cover the fundamental of petroleum production and productivity evalaution including the subsurface reservoir and surface facility and their integration. - Basic theory of petroleum production engineering - Analysis of production system: Nodal analysis - Production enhacnement: stimulation, hydraulic fracturing - Artificial lift: production pump - Production fluid treatment - Pipeline transportation and storage - Production facility |
ENR4320 | 에너지자원과 인공지능(Energy resourc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
---|---|
N/A |
ENR4324 | 에너지자원공학 설계 및 평가(Design and Evaluation of Energy Resources Development (Capstone Design)) |
---|---|
에너지 및 에너지자원의 탐사, 개발, 생산, 분배, 거래, 활용 등 에너지자원공학 제반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탐구 주제를 선택하고 연구계획을 수립한다. 연구계획에 따라 문헌조사, 자료수집, 설문조사, 실험, 시뮬레이션, 기술평가, 경제성평가 등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결과보고서를 작성한다. 최종 발표평가를 통해 에너지자원 분야의 현안 이슈에 대한 이해와 종합적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을 검증한다. |
GEB1107 | 의사소통 영어(English Communication: Pre-Intermediate) |
---|---|
학생들이 미래의 학술연구와 업무 수행에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처하는 데 필요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초급 수준의 영어 교과목으로 다양한 학생 중심의 활동을 통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익히고 연마한다. |
GEB1108 | 의사소통 영어: 중급(English Communication: Intermediate) |
---|---|
학생들이 미래의 학술연구와 업무 수행에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처하는 데 필요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중급 수준의 영어 교과목으로 다양한 학생 중심의 활동을 통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익히고 연마한다. |
GEB1109 | 의사소통 영어: 고급(English Communication: Advanced) |
---|---|
학생들이 미래의 학술연구와 업무 수행에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처하는 데 필요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고급 수준의 영어 교과목으로 다양한 학생 중심의 활동을 통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익히고 연마한다. |
GEB1112 | 크로스오버 1 : 인간의 탐색(Crossover Course 1: Humanities) |
---|---|
인문학은 학문의 영역인 동시에 모든 인간의 마음속에서 쉼 없이 역동하는 원초적인 탐구정신이다. 그것은 자기가 어떤 존재인지를 이해하고 나아가 어떤 존재로 살아갈 것인지를 결단하려는 인간의 근원적인 욕구에서 출발하여, 문학, 역사, 언어, 사회, 도덕, 문화와 예술 등 인간 정신의 다양한 산물에 대한 성찰로 전진한다. 이런 인문학의 정신은 자연을 이해함으로써 그것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지배하려는 과학기술의 정신과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 이 강의는 특히 이공계의 학생들을 주된 대상으로 삼아 이처럼 중요하고 필수적이면서도 결핍되어 있기 쉬운 인문학적 정신을 자기 자신에게서 발견하도록 유도한다. 강의에서 수강자는 자아, 공동체, 옳고 그름, 학문, 예술 같은 인문학적 주제들에 대해 읽고, 생각하고, 묻고, 그리고 생각한 것을 말하거나 글로 쓰는 연습을 하고, 이런 과정을 통해 인문학적 지식과 더불어 인문적 감각을 갖추게 될 것이다. |
GEB1114 | 크로스오버 3 : 사회의 탐색(Crossover Course 3: Economics, Business and Law) |
---|---|
1. (경제학) 개인의 행동에 관한 7개 원칙, 사람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7개 원칙, 경제 전체의 구성에 관한 7개 원칙, 금융 및 국제경제에 관한 7개 원칙들로 구분하여 경제학과 경제학적 사고방식을 강의한다. 2. (경영학) 구성원들의 노력을 계획, 조직, 지휘, 통제하는 과정으로 경영의 중요성과 유능한 경영자의 자질, 시장 지향적 고객중심 경영을 위한 마케팅의 여러 측면과 관리, 재무적 관점에서의 경영을 위한 포트폴리오 이론 등을 강의한다. 3. (회계학) 대차 대조표와 손익 계산서 등 재무 제표를 포함한 회계 정보를 어디서 얻고, 어떻게 이해하고, 특정한 판단과 선택을 위해서 회계 정보를 어떻게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무엇에 주의해야 하는지를 강의한다. 4. (법학) 자유와 책임, 개인간 자유의 상충에 관한 민법적, 형법적 제재와 소송 제도, 계약과 계약이행의 책임, 약자의 보호를 위한 정의와 이를 위한 장치로서 법의 역할과 한계를 강의한다. |
GEB1117 | 커리어 디자인 1(Career Design 1) |
---|---|
본 교과목은 신입생들이 바람직한 가치관을 정립하고,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신입생 대상 기초교과목이다. 본 교과목은 학생들이 가치 있는 삶의 목적을 수립하고, 성실한 자세로 도전하여 미래를 열어나가는 데 역점을 두며(온라인 인성교육),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토대로 졸업 후의 경력을 수립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오프라인 진로교육). |
GEB1126 | 문제해결을 위한 글쓰기(Writing and Problem Solving) |
---|---|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 학술적 글쓰기 및 실용적 글쓰기의 이론과 방법을 익힌다. 이를 바탕으로 글쓰기와 말하기 능력을 실습을 통해 향상시켜 대학에서의 학습을 효과적으로 하고 사회에서의 활동을 능독적으로 할 수 있는 교양인을 양성하는 데에 강의의 주안점을 둔다. |
GEB1142 | 미래사회와 소프트웨어-이공계열(Software and the Future Society-for the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
---|---|
미래사회의 필수역량으로 강조되고 있는 컴퓨팅적 사고력은 여러 학문 분야의 창의적 생각들을 융합의 바탕위에 실현하기 위한 기본적 소양이다. 컴퓨팅적 사고를 기반으로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다양한 IT기술과 정보환경을 이해하고 나아가 전공 기반위에서 새로운 융합 기술을 창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강의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스마트 모빌리티, 가상·증강현실, 사물인터넷, 정보보호 등의 주제를 통해 그러한 능력 배양을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
GEB1151 | 커리어 디자인 2(Career Design 2) |
---|---|
- 취업시기 도래 이전에 직무선정 및 커리어 설계의 중요성 인지를 통한 취업경쟁력 강화 - 전공맞춤형 직무선정과 산업 및 기업의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한 적절한 취업시기에의 취업성공 도모 - 구직스킬 향상을 통한 채용시장에서의 학생(지원자로서)의 장/단점 파악 |
MTH1901 | 일반수학 1(Calculus 1) |
---|---|
자연현상이나 사회현상을 분석하는데 필요한 수학개념, 공업수학의 여러 주제(미분방정식, 선형대수학, 벡터 해석학, 적분 변환 등)를 공부하는데 필요한 대학수학 이론을 공부한다. 주요 주제인 함수의 극한, 연속성, 미분과 적분, 무한급수의 수렴과 발산, 멱급수, 일변수 함수의 테일러 전개, 극좌표, 벡터와 행렬 및 복소수의 개념을 깊이 이해하고 관련한 응용문제를 살펴본다. |
MTH1902 | 일반수학 2(Calculus 2) |
---|---|
극좌표, 공간도형 및 공간벡터, 편도함수, 다중적분, 주면 및 구면 좌표계 그리고 그린 정리와 스톡스 정리 등에 대해서 공부한다. |
PHY1901 | 물리학1(Physics1) |
---|---|
역학의 기본이 되는 뉴턴의 운동법칙을 중심으로 그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계에 적용시킨다. 물체의 운동, 원운동, 강체의 회전 운동을 공부하고, 더 나아가서 고체와 유체, 파동등으로 확장시킨다. 끝으로 기체와 같이 많은 입자로 이루어져 있는 계를 기술하는 열물리의 기초를 공부한다. 위와 같이 다양해 보이는 여러 현상들의 출발점과 근본은 뉴턴의 운동법칙이다. 뉴턴 법칙의 직접적인 적용도 유용하지만, 에너지 보존법칙, 운동량 보존 법칙도 일과 운동량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도입된 후 뉴턴의 운동법칙을 이용하여 얻어진 |
PHY1902 | 물리학2(Physics2) |
---|---|
2학기에는 전자기학, 광학, 양자역학, 상대성이론 그리고 핵물리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와 그 응용에 대 해 공부한다. |
PHY1903 | 물리학실험1(Physics Lab.1) |
---|---|
기초 물리학 이론을 실험으로 확인하고 이론이 적용되는 상황에서 실험을 통한 과학적 분석 방법을 배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