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교과과정
IGJ5001 | 전자회로특론(Advanced Topics in Electronic Circuits) |
---|---|
1) OP Amp.회로의 원리 및 설계, OP Amp.의 선형 및 비선형 전자시스템에서의 응용. |
IGJ5002 | 스위칭이론(Switching Theory) |
---|---|
조합논리회로 및 순서논리회로의 해석 및 합성, 결함검출, 특수논리함수, 집적회로에 의한 디지털회로 설계 |
IGJ5003 | 디지털신호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
---|---|
Discrete-time signals and systems, Sampling, The Z-transform, LTI systems, Digital filter design, The discrete fourier transform, FFT. |
IGJ5004 | 컴퓨터구조론(Computer Architecture) |
---|---|
Quantitative principles of computer design and performance measurements, Instruction set principles, Pipeline implementation, Advanced design techniques for cache and virtual memory, Instruction-level parallelism its exploitation, Data-level parallelism in Vector, SIMD, and GPU architectures, Multicore processors to exploit thread-level parallelism. |
IGJ5005 | 통신이론특론(Advanced Topics in Communication Theory) |
---|---|
불규칙 신호와 잡음, 직선변조, 지수변조, 지속과 변조의 잡음, 샘플링과 펄스변조, 정보이론과 통신계층, 신호공간과 통신. |
IGJ5006 | 전자장특론(Advanced Topics in Electronic Materials) |
---|---|
결정의 에너지 준위, 열평형에서의 캐리어 농도, Boltzman 수송이론, 전자정공의 산란 및 재결합, 밴드 구조와 유효 질량, 반도체 표면물리, MOS Capacitor와 FET, MOSIC설계 |
IGJ5007 | 전자재료특론(Advanced Topics in Electromagnetic Theory) |
---|---|
전자파 방정식의 해석, 불균질, 이방성 매질 중의 전자계, Plasma 중의 전자파 경계치 문제. |
IGJ5008 | 데이터통신특론(Advanced Topics in Data Communication) |
---|---|
통신망 구성, 공중통신서비스, 전송설비와 신호변환장치, 데이터통신단국과 인터페이스, 전송오차의 제어, 회선위 다중화, 회선제어진행법, 회선프로토콜, 제어소프트웨어, 회선설계. |
IGJ5009 | 광통신특론(Advanced Topics in Optical Communication) |
---|---|
광수신기의 동작원리 및 회로, 광변복조이론 및 방법, 광파의 전소특성, 광섬유의 구조와 원리 |
IGJ5010 | VLSI설계(VLSI Design) |
---|---|
Device와 기본회로 설계 공정, VLSI 설계방법, CAD Semicustom, Fullcustom. |
IGJ5011 | 컴퓨터통신시스템(Computer Communication System) |
---|---|
통신회선망 기술, 회선의 스위칭, 프로토콜과 구조, 회선망 접속프로토콜, 응용프로토콜, 디지털망의 종합서비스. |
IGJ5012 | 레이저공학(Laser Engineering) |
---|---|
Laser의 기본원리, Laser광의 특성, 각종 Laser의 동작원리 및 특징, Laser 응용. |
IGJ5013 | 정보이론(Information Theory) |
---|---|
Error-detecting codes, Error-correcting codes, Huffman codes, Shannonʼs theorems, Channel, Mutual information, Channel capacity, Algebraic coding. |
IGJ5014 | 센서공학(Sensor Engineering) |
---|---|
센서의 변환기능, 센서의 기능화와 집적화, 광센서, 온도센서, 자기센서, 압력센서, 기체센서, 습도센서, 음향센서, 역학량센서, 바이오센서의 기초이론과 응용시스템에 관한 것. |
IGJ5015 | 생체정보공학(Biological Information Engineering) |
---|---|
뇌의 정보처리기구 및 학습이론, 신경세포의 동작과 이들의 모델 및 회로, 시각현상과 색각의 메카니즘, 망막의 모델과 시각계의 도형추출기능 등 시각계의 정보처리, 음의 감각과 청각계의 생리기구와 이들의 모델, 청각계 모델에 의한 음성식별 등 청각계의 정보처리기구. |
IGJ5016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
---|---|
인공지능의 기초원리와 응용의 전반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도록 한다. 문제의 표현, 상태그램의 수식, 문제의 분할에 의한 수색, 의미와 지식표현 추론, 문제의 해결과 계획, 자연어의 이해시스템(번역기계, 대화시스템, 전문가시스템), 지각 및 패턴 인식(문자, 3차원 도형) 등 기초를 교육하고 프로그램언어, LISP, PROLOG을 교육하여 간단한 처리를 한다. |
IGJ5017 | 오토마타이론(Automata Theory) |
---|---|
래티스 및 모듈이론, 디지탈 계통분석, 순서회로에 의한 Finite Automata해석, 현대 대수의 순서회로에 대한 적용. |
IGJ5018 | 화상처리론(Image Processing) |
---|---|
화상의 Digitalizing의 기초이론과 표시방법, 화상처리기법의 기초이론과 소프트웨어, 실제응용으로서 화상의 복원, 압축, 강조, 분학, 화상의 측정과 분류, 3차원 화상처리의 기초이론 |
IGJ5019 | 신경회로이론(Neural Network Theory) |
---|---|
Neural Network의 Network Dynamics와 Theory에 대해 살펴보고 특히 perception에 Back propagation 등 학습모형을 연구하며, 패턴인식 등 Neural Network의 여러 가지 응용분야도 다룬다. |
IGJ5020 | 로보트공학(Robotics) |
---|---|
산업용 로보트의 모델링 및 제어에 관하여 검토한다. 우선, 로보트 팔의 운동역학에 관하여 배우고, 이를 이용하여 로보트 팔의 수학적인 모델링을 한다. 또 로보트 팔에 대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최근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하며 이에 덧붙여 제어에 필요한 각종 계측센서들에 대하여 연구한다. |
IGJ5021 | 위성통신공학(Satellite Communication Engineering) |
---|---|
위성의 특성, 변조 기술, 성능 저하의 원인 및 이론, 다중방식 기술, 위성망 설계기술 및 이론, 시스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설계기술. |
IGJ5022 | 레이더공학(Radar Engineering) |
---|---|
레이더 개요 및 레이더 방정식을 통하여 기본적인 레이더의 원리를 파악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송수신기의 특성, 스위칭원리, 레이더신호처리기법 등을 배운 후 각종 레이더의 특성과 성능을 배우고 이의 실질적인 응용을 다룬다. |
IGJ5023 | 마이크로웨이브공학특론(Advanced Microwave Engineering) |
---|---|
진보된 마이크로웨이브공학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마이크웨이브공학의 개요, 마이크로웨이브공학에서 필요로 할 전자파의 이론, 전송선 이론, 스미스 차트 등과 같은 기본적인 이론을 학습한 후 각종 임피던스 정합 이론 및 튜닝 특성, 특수전송선로의 이론과 그의 불연속성 해석 및 응용, 도파관의 원리 및 응용, 마이크로웨이브회로망의 해석 및 측정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
IGJ5024 | 마이크로웨이브회로설계Ⅰ(Microwave Circuit DesignⅠ) |
---|---|
마이크로웨이브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능동소자 및 하부 시스템의 설계이론 및 특성을 학습한다. 주요 학습내용은 마이크로웨이브시스템의 구성, 마이크로웨이브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과 같은 각종 소자의 특성, 저잡음, 고이득, 대전력 등과 같은 각종 증폭기, 각종 발진기, 각종 믹서 등의 설계이론을 학습한다. 또한 HMIC, MMIC 등에 대하여도 학습한다. |
IGJ5025 | 마이크로웨이브회로설계Ⅱ(Microwave Circuit DesignⅡ) |
---|---|
마이크로웨이브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수동 소자 및 하부시스템의 설계이론 및 특성을 학습한다. 주요 내용은 도파관 전송선, 평행판 전송선 등과 같은 전송선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필터, 공진기 등을 해석하고 설계하는 이론을 학습한다. 또한 페라이트 소자를 이용한 각종 소자의 설계 이론 등을 학습한다. |
IGJ5026 | 고장허용컴퓨터(Fault-tolerant Computing) |
---|---|
고장허용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설계기술 오류검출 및 정정코드, 신뢰성, 안정성, 가용도 모델링과 시스템의 고장허용설계, 테스팅과 테스트가 가능한 회로설계. |
IGJ5027 | 병렬처리시스템(Parallel Processing Systems) |
---|---|
병렬처리 개요, Pipeliming과 벡터처리, SIMD와 MIMD 컴퓨터 구조, 프로세서간의 통신, 시스템의 deadlock 및 protedion, 다중 프로세서의 Scheduling, 병렬 알고리즘, Data flow 컴퓨터, 어레이 프로세서. |
IGJ5028 | 컴퓨터 알고리즘 (Computer Algorithms) |
---|---|
Growth of functions, Divide-and-conquer, Probabilistic analysis and randomized algorithms, Analyses of various sorting algorithms, Medians and order statistics, Dynamic programming, Greedy algorithms, Minimum spanning trees, Single-source and all-pairs shortest path routing algorithms, Maximum flow, Linear programming, Number-theoretic algorithms, NP-completeness. |
IGJ5029 | 이동통신공학(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
---|---|
이동통신개요, 다중경로해석, 전파특성, 변복조기법, 다이버시티수신, 주파수설계, 핸드오프, 로밍, 셀룰러 개념, 다중접속기법, 아날로그 및 디지털 셀룰러시스템 아키텍처 등을 다룬다. |
IGJ5030 | 항공전자특론(Advanced Avionics Systems) |
---|---|
항공기시스템 중 전자ㆍ통신ㆍ계기ㆍ제어 계통에 대한 개념과 원리를 학습한다. 항공기 운항 개념을 기본으로 이들을 구성하는 항공기시스템은 물론이고, 항행을 지원하는 지상시스템의 개념과 원리도 학습에 포함된다. 세부학습내용은 VHF, HF, 인공위성 및 레이더 등에 의한 통신시스템을 위주로 인공위성 및 무선에 의한 항법시스템, 자동비행시스템 및 각종 계기시스템 등과 같은 기상시스템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기초로 지상에서 이들을 지원하는 일차 및 이차감시레이더, ADS, VOR, NDB, dGNSS 등과 같은 무선항로보안시설, AFTN, CIDIN, ATN 등 유ㆍ무선, 음성 및 데이터통신망 등도 포함된다. |
IGJ5031 | 네트워크프로토콜(Network Protocol) |
---|---|
Architecture and protocols of the TCP/IP suite, Internet address architecture, Link layer, Address resolution protocol, Internet protocol (IP), System configuration (DHCP and autoconfiguration), Firewalls and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CMP), Broadcasting and local multicasting (IGMP and MLD), User datagram protocol (UDP) and IP fragmentation, Name resolution and the domain name system (DNS),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
IGJ5032 | 컴퓨터비젼공학(Computer Vision Engineering) |
---|---|
영상정보를 인식하여 처리하는 기본 개념을 익히고 패턴에 적용되는 측정치 집합에 대한 패턴인식방법의 효율성과 인식할 패턴의 특징요소 추출법, 구조적인 정보 및 위상학적 특성에 대한 골격 구성, 처리할 자료의 양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여 패턴 인식 시스템에 설계능력을 갖도록 함에 있다. |
IGJ5033 | 의용생체공학(Biomedical Engineering) |
---|---|
생체전기현상의 기초, 각종 생체변환기의 원리와 생체전기현상, 증폭기의 특성 및 종류, 생체정보의 처리방식, 의용 영상시스템을 위시한 각종 진단치료용 응용시스템 및 이들의 안전성. |
IGJ5034 | 퍼지논리 및 응용(Fuzzy Logic and its Application) |
---|---|
퍼지집합, 퍼지집합연산, 퍼지관계, 퍼지함수, 퍼지척도, 퍼지논리, 전문가시스템, 퍼지컴퓨터, 퍼지제어, 응용, 패턴인식, 의사결정 의학 및 사회과학 |
IGJ5035 | 디스플레이공학(Display Engineering) |
---|---|
평판디스플레이의 기본개념의 이해를 통하여 소자설계 및 공정 등과 같은 응용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평판 디스플레이의 개요와 기본 동작원리에 대하여 강의한다. 특히 TFT-LCD의 원리 및 최근 기술을 중심으로 강의한다. |
IGJ5036 | RFID특론(Advanced Topics in RFID) |
---|---|
RFID시스템은 물품 등 관리할 사물에 태그를 부착하고 전파를 이용하여 사물의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인식하여 각 사물의 정보를 수집, 저장, 가공 및 추적함으로써 사물에 대한 측위, 원격처리/관리 및 사물간 정보 교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있다. 이러한 RFID기술은 반도체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의한 컴퓨팅 능력의 급성장과 통신망 인프라의 융합화를 기반으로 정보화의 지평을 확대시킬 수 있는 핵심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본 과정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근거리 무선통신에 있어서 모든 상품에 생산, 유통 정보를 기억시켜 소비자가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RFID 태그(Tag)와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어 들이기 위한 리더(Reader)의 구성요소 및 원리와 더불어 미들웨어 및 바코드 체계와 같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이해에 요구되는 기반 지식들에 대해서 학습한다. |
IGJ5037 | 고체전자물성공학(Solid state Engineering) |
---|---|
전자소자를 구성하는 재료들의 종류와 특성, 미세조직, 상변태와 확산, 그리고 소자화하는데 필요한 핵심이론과 공정에 대해 강의한다. 특히 미세조직과 전기 및 전자적 특성과의 관계에 중점을 두어 강의한다. |
IGJ5038 | 정광학(Optics of liquid crystal displays) |
---|---|
결정광학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액정디스플레이의 광학 현상에 대하여 강의한다. 주된 내용은 편광의 개념과 표현법, 편광소자, 이방성 매질에서의 광학적 현상, 액정에서의 광투와 특성 등에 대해 학습한다. |
IGJ5039 |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
---|---|
현재의 IT/NT/BT분야의 발전으로 산업체 및 연구소등에서 이와 관련 상품개발 및 연구에 집중을 하고 있음을 여러 매체 등을 통해 잘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IT/NT/BT분야의 Device를 개발할 때 필수적인 요소가 이에 필요한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강좌를 통해서는 이러한 공정의 여러 기술과 분야를 이해하고 또한 각 공정의 이론적 Mechanism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직접 Device를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IGJ5040 | 운영체제론 (Operating Systems) |
---|---|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제공하는 핵심 소프트웨어이다. 운영체제의 기능과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같은 고급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다진다. 운영체제의 요소들인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I/O 관리, 디스크 관리, 프로세스 동기화, 화일 관리의 개념과 각종 알고리즘들을 공부하고 LINUX 시스템의 기초적인 사용법을 배운다. |
IGJ5041 | 자동제어입문 (Introduction to Automatic Control) |
---|---|
현대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이론과 응용의 근본 지식 습득을 목표로 한다. 특히 시스템의 수학적 모델링, 안정도의 개념 및 해석 기법, 제어기 설계 기법을 공부한다. |
IGJ5042 | 마이크로패키징 (Fundamentals of Microsystems Packaging) |
---|---|
이크로 디바이스의 제조 공정은 chip의 제작, 패키징, 검사의 3 단계로 구성되며, 이중 패키징과 검사 공정이 전체 원가의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패키징은 chip의 크기와 성능에 큰 영향을 준다. 마이크로 패키징은 마이크로 소자를 구성하여 시스템으로 만드는 기술로서 이를 위하여 기계, 재료, 전자 공학이 연관된 학제간 연구 분야이다. 본 강의를 통하여 패키징의 발전 경향 및 여러 기술들을 알고 그 원리를 터득하여 앞으로 디바이스의 패키징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교과 내용으로는 Joining and bonding technologies, Sealing technologies, Micro assembly, Testing and design for test, and Reliability and Qualification 등으로 이루어진다. |
IGJ5043 | 다중안테나시스템특론(Multiple Antenna System) |
---|---|
다중안테나 이론은1948년 샤논에 의한 전송률 정보 이론 이후 1990년대 중반에 제안된 새로운 이론이다. 다중안테나 기술은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면서 전송률을 안테나 수에 비례해서 높일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로써 현재의 와이브로와 무선랜 같은 무선 통신기술이나 미래의 무선 통신 기술에 적용되고 있다. 본 과정은 이러한 다중안테나의 채널 용량 이론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실제 무선통신 기술의 적용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미래 무선 통신의 핵심기술을 습득한다. |
IGJ5044 | 고체전자물성공학2(Solid State Engineering2) |
---|---|
반도체공정에 필요한 기본지식, 반도체이론, P-n접합특성, 다이오드의 동작원리, Transistor의 동작원리등을 익힌다. |
IGJ5045 | 임베디드시스템 (Embedded System) |
---|---|
IGJ5046 | 제어시스템설계입문 |
---|---|
제어시스템설계의 주요개념을 다루고, 제어시스템설계의 정체성을 이해한다. |
IGJ5047 | 디지털미디어시스템설계 (DigitalMediaSystemDesign) |
---|---|
영상처리 기초: 기본적인 영상처리의 원리들을 학습한다. - 영상 압축의 원리: 영상처리 중 하나의 기술인 영상 압축 기술에 대해 심도있게 학습한다. MPEG, JPEG의 원리를 알아본다. - 디지털 영상 기기 화질 처리 프로세스 개요: DTV, 카메라 등에 적용되는 화질 개선 기법들을 알아본다. |
IGJ5048 | 디지털통신특론(AdvancedDigitalCommunicationSystems) |
---|---|
디지털 통신의 기초 내용과 수학적 기초이론을 살펴보고 디지털 통신 개선, 복원, 처리 등을 다룬다. |
IGJ5049 | 퍼지제어 (Fuzzy Control) |
---|---|
본 교과목은 지능제어로 알려진 기법 중에서 불확실성, 애매모호함 및 복잡성의 처리에 효과적인 퍼지제어 기법을 공부한다. 퍼지집합이론, 퍼지논리 및 추론규칙, 퍼지추론시스템에 대하여 공부하고, 이에 대한 제어응용을 공부한다. |
IGJ5050 | 공중선 및 전파이론 (Antennas and Propagation) |
---|---|
전자파를 활용하는 분야는 정보 전달을 하는 무선통신뿐만 아니라 레이더, 원격탐사, 인체 내부의 암 진단 및 치료 등까지 매우 폭넓으며, 지속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공중선 및 전파이론 (Antennas and Propagation Engineering)은 전자파를 활용한 시스템에서 최종단에 설치되는 안테나 와 전자파의 전파를 이해하는데 요구되는 기초적인 지식을 전자 및 정보통신공학 석,박사 과정을 이수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공중선 및 전파이론에 대한 특론을 학습한다. 먼저 안테나의 동작원리와 파라미터 등 기본적인 이론에 대하여 소개한 후, 실제로 사용하는 다양한 안테나와 해석 및 측정이론에 대하여 학습을 하여 공중선 및 전파이론에 대하여 심도있게 이해한다. |
IGJ5051 | 레이다공학 (Radar Engineering) |
---|---|
adar 기초 / Friss 방정식 / 안테나 기초 / RF 회로 설계 및 해석 /Radar 신호해석 / SAR 기반 이론 |
IGJ5052 |
불규칙 과정론 (Stochastic Process) |
---|---|
랜덤 신호 분석이 되는 기본 확률 이론 및 랜덤과정 이론을 학습한다. 랜덤하게 변화하는 현상을 모델링, 분석하는 이론 및 과거 데이터로 부터 미래를 예측하는 기법을 학습한다. 이를 위해 확률 개념, CDF, PDF와 같은 수학적 기법, 가우스 분포와 같은 기본 PDF의 특성,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랜덤 프로세서를 정의, 분석한다. |
IGJ5053 |
혼성신호집적회로설계 (Mixed-signal IC Design) |
---|---|
모든 전자시스템은 혼성신호 처리 집적회로 및 메모리, MPU로 구성된다. 본 교과목에서는 전자시스템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서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혼성신호 처리 집적회로 개관 및 회로 설계 방법론에 관하여 강의한다. 즉, 증폭기, 비교기, 데이터 변환기(ADC, DAC), 클록 발생기 회로, PLL(Phase-Locked Loop), 전력관리회로(PMIC) 설계 등을 포함한다. |
IGJ5054 |
고속인터페이스설계 (High-speed Interface Design) |
---|---|
현재 시스템의 고성능화에 따라 신호전달이 병렬에서 직렬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를 구현하는 설계방법론에 대해서 배운다. 현재 고속인터페이스의 표준으로 채택되어 사용중인 HDMI, DisplayPort, USB등의 회로의 구조를 알아보고, 내부 회로인 PLL, CDR, Equalizer등 회로 설계방법에 대해서 공부한다. |
IGJ5055 |
이동통신특론 (Advanced Mobile Communications) |
---|---|
급속히 변화하는 통신 기술 중에서 이동통신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 이동통신 특론은 기존의 디지털 통신 무선 통신의 기술을 바탕으로 이동성을 부여함으로써 필요한 기술들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
IGJ5056 |
유기전자공학 (Organic Electronics) |
---|---|
최근 전자디스플레이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액정 및 유기발광재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액정디스플레이(LCD)와 유기발광디스플레이(OLED) 소자 전반에 대해 강의한다. |
IGJ5057 |
반도체 소자공학 (Semiconductor Device Electronics) |
---|---|
본 교과는 반도체 소자의 물성 및 기초 응용소자에 대한 이해와 기초이론을 다룬다. |
IGJ5058 |
무선 네트워크 통신 특론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
무선통신네트워크는 다중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다중 사용자간의 통신을 하기위한 방법이다. 무선통신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무선채널의 변화, 다중 사용자에게 무선 자원을 분배하기 위한 셀룰러 구조, WLAN, WPAN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
IGJ5059 |
마이크로웨이브 시스템 (Microwave system) |
---|---|
본 과목에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front-end부분 소자의 noise figure 같은 중요 파라미터를 다루고, 간단한 안테나 특성을 배운다. 특히 수동 소자 중 중요한 필터의 특성 및 디자인 방법을 배운다. |
IGJ5060 |
아날로그 VLSI 설계 (Analog VLSI design) |
---|---|
In this course, IC design motivation and IC process is briefly reviewed from the viewpoint of circuit designer, followed by analog device and circuit models. Basic CMOS amplifier design concept is reviewed and students warm up basic amplifier design activity through homeworks. CMOS basic amplifier design skill will be extended to design CMOS operational amplifiers, which will be topics of term projects. Each student will be exposed to design CMOS opamps and make a presentation of his work during the class. Excellent outcomes of term projects may be delivered to MPW(Multi Projcet chip Wafer), so that the students associated with them may have and opportunity to fabricate his/her own CMOS opamps IC chip. Applications of oamps will be discussed as well. |
IGJ5061 |
전자디스플레이공학 (Electronic Display Engineering) |
---|---|
최근의 전자디스플레이 관련한 이론적 배경과 핵심기술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자체 제작한 ppt 자료로 강의한다. 전자디스플레이 기술 전반에 대해 심도 있게 이해하고 동시에 엔지니어링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
IGJ5062 |
추정시스템설계 입문(Introduction to estimation systems design) |
---|---|
제어시스템의 구현에서 중요한 전제조건은 변수의 정확한 측정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서 변수의 정확한 측정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변수가 물리적으로 측정불가능하거나 잡음에 의하여 정확히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어시스템설계 문제만큼 중요한 추정시스템설계 문제를 소개한다. |
IGJ5063 |
반도체소자공정(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
---|---|
반도체 소자 공정에 대한 기반 지식과최신 공정 기법에 대한 소개를 다룬다. |
IGJ5064 |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
---|---|
이 과정에서는 MAB 및 MDP와 같은 기본 강화 학습 모델을 연구하고 인기 있는 솔루션 방법을 배울 것이다. 또한, 우리는 이러한 학습 모델과 알고리즘을 적용한 실용적인 응용을 연구할 것이다. |
IGJ5065 |
센서와 액츄에이터 개론(Introduction to Sensors and Actuators) |
---|---|
MEMS의 개념과 제작 공정의 이해를 기본으로 여러 센서와 액츄에이터의 동작 원리에 대해 배우게 된다. 또한 기계적 및 전기적 모델링을 통한 미세 기기의 구현을 이해하고 이를 기본으로 Fabrication을 위한 Mask제작을 직접 수행함으로 현장에서 활용할 능력을 키운다. |
IGJ5066 |
컴퓨터네트워크(Computer Network) |
---|---|
Learn fundamental aspects of modern network systems: design principles, control algorithms, and basic/advanced functionalities of computer networks. Learn network architecture and layered functions on application, transport, routing, and medium access contro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