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첨단산업과 과학기술을 이끌어 나가는 선두주자로서의 역할수행을 위한 과학기술교육과 교훈인 ʻ진(眞)ʼ이 뜻하는 바와 같이 진실한 학문과 인격을 갖춘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과학적 창조정신과 인간적 가치구현을 목표로 한다.
교과 내용은 전력공학, 전기재료 및 물성, 제어시스템의 분야로 나누어지며 전력공학에서는 전기기기ㆍ전력계통ㆍ전력전자ㆍ에너지변환을, 전기재료 및 물성 분야에서는 절연재료ㆍ센서공학ㆍ레이저 공학을, 제어시스템 분야에서는 산업공정제어ㆍ계측공학ㆍ디지털신호처리ㆍ직접회로설계 등을 산업현장에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강의한다. 또한 이들 전기 분야에 대한 실험적 지식을 습득하기 위하여 주요시설 및 풍부한 장비를 갖추어 이론연구 및 실험을 통해 창조적인 능력을 개발시키고 있다.
교과 내용은 전력공학, 전기재료 및 물성, 제어시스템의 분야로 나누어지며 전력공학에서는 전기기기ㆍ전력계통ㆍ전력전자ㆍ에너지변환을, 전기재료 및 물성 분야에서는 절연재료ㆍ센서공학ㆍ레이저 공학을, 제어시스템 분야에서는 산업공정제어ㆍ계측공학ㆍ디지털신호처리ㆍ직접회로설계 등을 산업현장에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강의한다. 또한 이들 전기 분야에 대한 실험적 지식을 습득하기 위하여 주요시설 및 풍부한 장비를 갖추어 이론연구 및 실험을 통해 창조적인 능력을 개발시키고 있다.
교과과정
IGI5001 | 전력계통공학특론(Advanced Power System Engineering) |
---|---|
전력전송에 대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전력계통의 계획, 운용, 합리적 관리와 경제적 부하부담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
IGI5002 | 전리기체론(Advanced Topics of Ionized Gases) |
---|---|
하전입자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전리기체의 원ㆍ분자과정, 전계 중에서의 수송현상과 약전리기체방전의 특성과 해석, 응용에 대하여 다룬다. |
IGI5003 | 절연재료공학(Insulation Material Engineering) |
---|---|
방전현상, 전리기체의 기초과정, 기체의 절연파괴, Plasma특성, 고체 및 기체의 전기전도와 절연 파괴 Glow 및 Arc방전, 복합유전체의 절연파괴, 고전압절연법, 고전압응용 등을 다룬다. |
IGI5004 | 대체에너지공학(Alternative Energy Engineering) |
---|---|
광에너지변환, 연료전지, 전자유체역학발전, 열전자기발전, 자연에너지변환, 핵융합발전, 바이오에너지변환 등을 다룬다. |
IGI5005 | 전자무기재료(Electronic Ceramics) |
---|---|
신소재와 센서용 재료에 기초가 되는 절연세라믹스, 유전세라믹스, 자성세라믹스, 압전세라믹스, 반도체 및 기능성세라믹스 등을 다룬다. |
IGI5006 | 전력응용특론(Advanced Topics of Power Applications) |
---|---|
전력응용에 대한 기초지식과 기본계획, 이용성 증대, 합리적 응용 등을 다루고, 전동력설비, 조명설비, 전열설비, 정전기 응용 등을 다룬다. |
IGI5007 | 물성론(Theory of Material Properties) |
---|---|
물질이 가지고 있는 성질을 파악하여 응용성 확충의 관점에서 강의하며 양자론, 기체의 분자운동, 원자결합, 결장구조, 격자진동 등을 다룬다. 전기공학분야에 응용되고 도전체, 유전체, 자성체, 반도체물성 및 기능성물질과 옵토일렉트로닉스에 대하여 강의한다. |
IGI5008 | 고전압대전력공학(High-voltage and High-Power Engineering) |
---|---|
고전압 현상과 정전계에 관한 기초이론, 대전류 현상, 고전압 및 대전류 발생과 측정, 절연특성, 고전압대전력기기 시험법 등을 다룬다. |
IGI5009 | 센서공학(Sensor Engineering) |
---|---|
각종 센서의 동작원리, 변환기능, 분류, 요구조건 등 기본성능과 물리센서, 화학센서, 열센서, 광센서, 전자계센서 등의 이론과 응용기술. |
IGI5010 | 디지털신호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
---|---|
디지털신호처리의 기본개념, Fourier변환 및 Z-변환, 디지털 필터설계 및 DSP의 응용, DSP용 하드웨어의 분석 및 응용. |
IGI5011 | 직접회로설계(Integrated Circuits Design) |
---|---|
직접회로의 설계 및 응용개요, 디지탈회로 설계, 초집적회로(VLSI)의 설계방법 및 CAD, IC Testing 및 Fault-tolerant Design. |
IGI5012 | 컴퓨터특론(Special Topics in Computer Engineering and Science) |
---|---|
컴퓨터공학 분야의 여러 주제들 중에서 최근에 학계 및 산업계에서 관심이 높아지는 주제를 선정하여 이에 대하여 특론함. |
IGI5013 | 현대제어이론(Modern Control Theory) |
---|---|
선형시스템에 대한 상태방정식 표현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제어에 대하여 배운다. 그리고 시스템에 대한 가제어성, 가관측성 및 안정성에 대하여 공부하고 제어기의 실현문제에 대하여 배운다. |
IGI5014 | 계산기제어론(Computer Control Theory) |
---|---|
디지털계산기를 이용한 시스템의 제어에 대하여 배운다. 먼저 연속치 시스템에 대한 이산화 과정에 대하여 배우고 이산화 된 시스템에 대한 여러 가지 제어기의 설계방법에 대하여 배운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실현에 대하여 공부한다. |
IGI5015 | 산업공정제어(Industrial Process Control) |
---|---|
실제 공정제어에 필요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해석, PID제어를 비롯한 여러 가지 공정제어 알고리즘, 그리고 지능제어 등에 대하여 배운다. 또한 수강생과 관련된 공정에 대한 실제 제어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공부한다. |
IGI5016 | 계장제어특론(Advanced Instrumentation & Control) |
---|---|
계측이론과 디지털 계장 및 데이터 수집과 계측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배운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제어에 대하여 연구한다. |
IGI5017 | 계측공학특론(Advanced Instrumentation Engineering) |
---|---|
계측이론과 계측시스템설계에 필요한 디지털 계장 및 센서와 변환기의 응용문제를 주로 다룬다. 우선 센서와 변환기의 종류 및 특성을 살펴보고 신호검출, 변환 및 조절회로를 고찰하며, 데이터 수집장치와 고감도 고정밀도의 디지털계측시스템의 구성과 설계에 대하여 연구한다. |
IGI5018 | 전력전자특론(Advanced Power Electronics) |
---|---|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들의 구조, 동작원리, 특성파악 및 응용설계 등을 다룬다. 최근의 전력용 반도체소자들의 특성 및 이를 이용한 각종 전력변환기에 대한 회로구성, 설계, 제어회로구성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
IGI5019 | 전기기기해석(Analysis of Electric Machines) |
---|---|
전자에너지 변환기에 대한 해석과 설계에 관련된 기초이론을 소개하고, 실용적 측면에 중점을 두어 회전기, 정지기, 특수기 등 전자에너지 변환에 따른 등가모델을 선정하고 해석하는 방법과 특성분석에 대하여 연구한다. |
IGI5020 | 전기설비진단특론(Advanced Diagnostic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
---|---|
전기설비의 사용 중에 발생하는 전기절연의 열화진단법의 시초와 발전설비의 진단시술, 수변전설비의 진단기술, 전선로의 진단기술, 산업용 전동기의 진단기술 등 응용분야에 대하여 강의한다. |
IGI5021 | 레이저공학(Laser Engineering) |
---|---|
레이저광의 특징, 레이저의 원리, 레이저의 발진 모드, 레이저광의 변조 등의 기본개념을 논한다. 각종 레이저(기체레이저, 고체레이저, 반도체레이저, 엑시머레이저, 자유전자레이저 등)와 레이저광의 응용(레이저 의료, 레이저 계측, 레이저 통신, 레이저 가공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
IGI5022 | 반도체공정(Semiconductor Technology) |
---|---|
반도체의 제반 제조공정(리소그래피, 산호, 식각, 증착, 이온주입, 확산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모리 용량의 증가 및 개별소자(ASIC, OEIC, TFT, LD 등) 공정을 위해 새로 도입되고 있는 여러 가지 공정에 대한 원리 및 응용에 대하여 강의한다. |
IGI5025 | 플라즈마공학(Plasma Engineering) |
---|---|
플라즈마의 기본 이론을 익히고 그 응용으로써 플라즈마 발생, 플라즈마 진단, 표면처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을 연구한다 |
IGI5026 | 접지설비공학(Grounding Installation Engineering) |
---|---|
접지의 원리와 종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기초사항을 검토하고, 접지설비에 대한 국내의 규정과 토양의 전기적 성질에 대하여 연구한다. 접지의 설계 및 시공, 접지저항의 측정, 접지임피던스의 과도특성의 해석, 접지의 유도관리와 보수 및 여러 가지 전기설비의 접지에 대해서 강의한다. |
IGI5027 | 뇌방전(Lightning Discharge) |
---|---|
뇌운의 생성과 뇌방전의 진전, 뇌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장과 자장의 특성과 측정, 낙뢰에 의해서 발생하는 과도이상전압의 해석, 피뢰설비 및 뇌서지에 대한 건축물 및 전기설비의 보호대책에 대해서 강의한다. |
IGI5028 | 전기기기제어론(Electric Machine Control Theory) |
---|---|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한 전기기기의 제어방식을 다룬다. 좌표변환이론을 도입하여 전동기의 모델을 도출하며 이를 이용하여 유도전동기, 브러시리스 직류전동기, 동기전동기 등의 벡터제어에 대하여 강의한다. |
IGI5029 | 소형전동기특론(Topics in Small Motors) |
---|---|
BLDCM, SRM, 스페핑모터의 구조, 동작원리, 특성해석, 구동방식, 제어법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
IGI5030 | 정보디스플레이공학(Information Display Engineering) |
---|---|
디스플레이의 기초이론 및 ICD, PDP, ELD, FED 등의 평판디스플레이의 구조 및 응용을 공부한다. |
IGI5031 | 전자디스플레이공학(Electronic Display) |
---|---|
전자디스플레이 중에서 특히 평판디스플레이에 대하여 공부한다. PDP, LCD, FED, EL 등의 특성과 장단점을 비교분석하고 각각의 원리, 제조방법, 재료, 응용 등을 연구한다. 특히, 대형 평판디스플레이소자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특성으로서 방전물리, 패널제작방법, 구동방식, 형광체 등을 중심적으로 공부한다. |
IGI5032 | 정전기응용공학(Electrostatic Application) |
---|---|
정전기를 이용한 산업장치가 많이 출현되고 있고 또한 정전기로 인한 산업재해 및 그 대책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각종 장치의 구조 및 이론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강의한다. |
IGI5033 | 신재생에너지공학(Renewable Energy Engineering) |
---|---|
화석연료의 부족과 온난화로 대표되는 지구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신재생에너지는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로 구분된다. 신에너지로는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등이 있고 재생에너지로는 태양열, 태양광, 풍력, 해양에너지 등이 있다. 본 강의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개요, 기본이론 그리고 그 응용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
IGI5034 | 스마트그리드 특론(Advanced Smart Grid Technology) |
---|---|
스마트그리드를 구성하고 있는 최신 기술들에 대해 살펴보고, 전력시스템에의 영향을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도록 한다. |
IGI5035 | 전력변환 회로 및 시스템(Power Conversion Circuit and System) |
---|---|
DC/DC, AC/DC, DC/AC, AC/AC 전력변환의 회로에 대한 동작 해석, 설계에 관련되어 이론을 소개하고, 전력변환 회로가 사용되는 시스템을 이해한다. |
IGI5036 | 전력경제(Power system economics) |
---|---|
전력시스템에 관련된 경제 이론, 전력 시장 및 정책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전력 경제 이론을 소개한다. 전력거래 시장을 전력망과 통합하여 모델링하고, 전력거래를 위해 필요한 이론과 지식을 시뮬레이션과 접목시켜 소개한다. 특히, 전력거래시장 중 전력 경매 및 거래 시스템을 시뮬레이션 하게 된다. |
IGI5037 | 창의적 공학문제 해결(Inventive Engineering Problem Solving) |
---|---|
현장의 공학적 기술적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사할 수 있는 창의적 문제해결 기법(TRIZ)에 대하여 강의한다. 트리즈의 역사, 문제의 정의, 시스템 분석, 이상성, 모순해결, 자원과 장, 발명원리, 기술진화의 법칙 등 강의하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접근하는 것을 체험하도록 한다. |
IGI5038 | 전기공학특론(Advanced Electrical Engineering) |
---|---|
대학 학부 과정에서 전기공학 관련 전공을 이수하지 않은 대학원 입학생을 위한 기초전기공학 내용을 제공한다. 즉 전기공학 학습에 필요한 기본 전기공학 일반내용으로 전기자기학, 회로이론, 전기기기, 전자회로 등을 공부한다. |
IGI5039 | 전기자동차개론(Introduction to Electric and Hybrid Vehicles) |
---|---|
전기자동차 파워트레인을 구성하는 배터리, 견인용 모터, 모터 드라이브의 구조 및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인버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의논한다. Matlab을 이용해 모터, 인버터, 컨버터를 시뮬레이션하고 파형을 분석한다. 또한, 충전기 Topology를 분석하고 충전 인프라 및 향후 전기자동차 시장의 전망에 대해 논의한다. |
IGI5040 | 디지털 신호 및 영상처리(Digital Signal and Image Processing) |
---|---|
여러 산업분야에서 음성, 영상, 전력 등 다양한 센서나 관측정보가 활용 되면서 디지털 신호 및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분석이 중요시되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디지털 신호 및 영상데이터의 특성을 이용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알고리즘에 대해 학습한다.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적인 특성에서 시작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데이터 분석, 미래 데이터 예측 및 분류와 인식 알고리즘에 대해 공부하고 활용기술을 학습한다. |
IGI5041 | 모바일 로봇 맵핑(Mobile Robot Mapping) |
---|---|
자율주행자동차 및 로보틱스에서 핵심 기술인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은 로봇 운용을 위한 핵심 내용이다. 본 수업에서는 모바일 로봇과 이동자세를 정의하고, 주변 환경 인지를 위한 SLAM의 원리를 이해한다. Wheel Odometry, LiDAR, Visual 등 다양한 센서 정보를 활용하며 Kalman Filter에서 부터 Graph-SLAM 까지의 내용을 학습한다. |
IGI5042 | 전력변환 회로해석(Power Conversion Circuit Analysis) |
---|---|
전력변환의 기초가 되는 다양한 기초 회로들의 동작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설계 능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력변환에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회로이론, 전자회로, 디지털 논리회로 등의 Application Circuits 학습하며 Simulation 을 통해 그 이해를 확실히 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