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62524
작성일
2022.02.16
수정일
2022.02.16
작성자
한국학연구소
조회수
291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31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31 첨부 이미지
부제목
해외 한국학의 형성과 확산
발행처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발행일
2021.08.31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

이 책은 영국, 소련·러시아, 대만, 일본에서 이루어진 한국학 연구의 역사와 전망을 되돌아보았으며, 특히 사회주의라는 사상 아래에서 배태된 소련·러시아의 한국학의 양상을 심도 있게 논의하여 정치사상이 학문에 끼친 영향과 함께 이들 연구와 이후 이 지역에서 발전된 한국학 연구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동아시아한국학의 심화와 확산을 위해 해외 한국학의 집단전기학에 대한 연구가 시작될 필요성이 있다는 글에서부터, 소련과 영국을 비롯하여 일본과 대만에서 이루어진 한국학 연구의 역사와 전망 등을 다룬 총 여섯 편의 글이 실렸다. 이 책을 통해 한국학이 향후 세계 학술의 중심부 중 하나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저자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엮음)
장윤희 張允熙, JANG YOONHEE
인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김태우(金泰佑, KIM TAEWOO)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박노자(朴露子, VLADIMIR TIKHONOV)
오슬로대학교 문화연구 및 동방언어학과 교수, 서울대 규장각 국제한국학센터 초빙연구원

연재훈(延哉勳, YEON JAEHOON)
런던대학교(SOAS) 한국학과 명예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초빙교수

최태원(崔泰源, CHOI TAEWON)
도쿄대학 교양학부 특임준교수

증천부(曾天富, TSENG TIEN-FU)
대만 동오대학(東吳大學) 언어교육센터 교수



목차

간행사3
서문6

장윤희│동아시아한국학의 심화·확산과 해외 한국학의 집단전기학

1. 여는 말13
2. 동아시아한국학의 심화·확산과 해외 한국학 집단전기학17
3. 해외 한국학 집단전기학 연구 방안20
4. 해외 한국학 집단전기학 연구 의의24
5. 맺는 말25

김태우│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 한국어문학의 성립과 A.A. 홀로도비치

1. 서론29
2. 1947년까지의 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의 한국어문학과31
3. 홀로도비치-러시아 한국어문학의 선구자45
4. 결언54

박노자│모스크바에서의 한국사 연구-소련 시기(1917~1991)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59
2. 제정 러시아의 동아시아 진출과 ‘한국사’ 연구의 기원62
3. 소련 시기 모스크바에서의 한국사 연구-맑스주의 이론과 국가의 제도 사이에서66
4. 결론-‘모스크바 학파’의 멸망?83

연재훈│영국 한국학의 발생과 발전-인물과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1. 들어가기93
2. 빌 스킬렌드-영국 한국학의 효시94
3. 영국 한국학의 발전97
4. 2010년대 중반 이후 한국학의 인기102
5. 영국과 유럽의 한국학 연구학회105
6. 전망과 과제107

최태원│전후 일본에서의 조선근대문학연구의 성립과 전개-‘조선문학의 회’를 중심으로

1. 새로운 조선연구의 흐름 속에서113
2. 문학연구의 기초와 문학사의 개관119
3. 문학연구회의 탈태와 문학사 인식의 심화133
4. 『조선문학-소개와 연구』의 성과와 한계149
5. 나가며165

증천부│대만의 한국학 연구 상황과 미래 전망

1. 양국의 교류와 1980년대 이전의 한국연구173
2. 한국학회(韓國學會)의 성립과 2000년까지의 한국연구182
3. 최근 20년간의 한국연구 동향190
4. 대만의 한국연구 추세와 미래전망196